안녕하세요! 음악과 이야기로 감성을 채우는 아르송, K-Art Song입니다.
가끔 어떤 노래는 멜로디만 들어도 마음 한구석이 아릿해지곤 하죠. 특히 우리나라의 '봉선화'나 '황성옛터' 같은 노래는 시대를 넘어 우리의 가슴을 울리는 힘이 있는 것 같아요.
그런데 혹시 우리나라의 이 노래들과 꼭 닮은 듯 다른 슬픔을 노래하는 일본의 명곡이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오늘은 시대를 관통하는 세 가지 슬픔, 한국의 가곡 '봉선화'와 대중가요 '황성옛터', 그리고 일본의 국민가곡 '코조노 츠키(荒城の月, 황성의 달)'를 한자리에 모아 그 닮은 듯 다른 이야기를 감성적으로 풀어보려고 합니다.
1. 억눌린 시대의 붉은 눈물: 가곡 '봉선화'
울밑에 선 봉선화야 네 모양이 처량하다
길고 긴 날 여름철에 아름답게 꽃 필 적에
어여쁘신 아가씨들 너를 반겨 놀았도다
우리에게 너무나 익숙한 '봉선화'. 어릴 적 할머니 무릎에서, 혹은 음악 시간에 배우던 아름다운 가곡이죠. 하지만 이 노래는 단순히 예쁜 꽃노래가 아니랍니다. '봉선화'는 일제강점기였던 1920년, 홍난파 선생님이 작곡한 노래로, 나라 잃은 우리 민족의 슬픔과 저항 정신이 고스란히 담겨 있어요.
- 처량한 봉선화: 바로 억압받는 우리 민족의 모습
- 붉게 물든 손톱: 아름다움 이전에, 조국을 위해 흘린 피와 희생
- 첫눈이 올 때까지: 독립의 그 날이 오기까지 꺾이지 않으려는 간절한 염원
이렇게 '봉선화'는 고운 꽃잎 뒤에 시대의 아픔과 저항의 눈물을 숨겨둔, 조용하지만 강인한 외침과 같은 노래랍니다.
2. 폐허 위에 터져 나온 망국의 통곡: 가요 '황성옛터'
황성옛터에 밤이 되니 월색만 고요해
폐허에 서린 회포를 말하여 주노라
아, 가엾다 이 내 몸은 그 무엇 찾으랴
끝없는 꿈의 거리를 헤매어 있노라
'황성옛터(荒城의 跡)'라는 제목, 어디서 본 것 같지 않으세요? 맞아요. 바로 다음에 이야기할 '코조노 츠키(荒城の月)'와 '황성(荒城)'이라는 한자를 공유합니다. 이 노래는 1928년, 작사가 왕평이 연극 공연차 개성에 들렀다가 고려 궁궐 터 '만월대'가 폐허로 남은 모습을 보고 그 자리에서 눈물을 흘리며 가사를 썼다고 해요.
'봉선화'가 은유와 상징으로 슬픔을 표현했다면, '황성옛터'는 망국의 슬픔을 직접적으로 토해내는 통곡에 가깝습니다. 나라 잃은 백성이 폐허가 된 옛 궁터를 보며 느끼는 처절한 심정, 그야말로 우리 민족의 '한(恨)'이 끓어오르는 듯한 노래죠. 당시 레코드가 닳도록 팔려나가며 온 민족의 눈물샘을 자극했던, 그 시대의 아픔을 위로하던 노래였습니다.
3. 달빛 아래 스러지는 역사의 허무: '코조노 츠키(荒城の月)'
봄 고루의 꽃의 잔치, 잔은 어디로 돌았나
치요의 소나무에 그 모습 남긴, 옛날의 빛은 어디에
자, 이제 일본으로 건너가 볼까요? '코조노 츠키(荒城の月, 황성의 달)'는 일본인이라면 누구나 아는 국민 애창곡입니다. 1901년에 발표되었으니 '봉선화'나 '황성옛터'보다 조금 빠르죠.
이 노래 역시 '폐허가 된 성'을 보며 느끼는 슬픔을 노래합니다. 하지만 그 슬픔의 결이 조금 달라요. '코조노 츠키'의 슬픔은 '무상함(無常)'에서 옵니다. 화려했던 성, 영원할 것 같던 권력도 시간의 흐름 앞에서는 결국 스러져간다는 역사적 허무함과 철학적인 쓸쓸함이죠.
이는 외세의 침략 같은 외부의 요인이 아닌, 시간의 흐름이라는 거스를 수 없는 순리 앞에서 느끼는 감정이에요. 달빛 아래 고요히 서서 사라져 간 것들을 관조하는 듯한, 차분하고 서늘한 슬픔이랄까요?
한눈에 비교하기: 세 노래, 세 가지 슬픔
구분 | 봉선화 | 황성옛터 | 코조노 츠키 |
---|---|---|---|
장르 | 예술 가곡 | 대중가요 (트로트) | 예술 가곡 |
슬픔의 원인 | 나라 잃은 설움 (외적) | 나라 잃은 설움 (외적) | 시간의 흐름, 역사의 무상함 (내적) |
감정 표현 | 은유적, 저항적 슬픔 | 직설적, 통곡하는 슬픔 | 관조적, 철학적 슬픔 |
핵심 정서 | 한(恨), 염원 | 한(恨), 통곡 | 무상함(無常) |
상징 | 꽃 (민족) | 폐허 (망국) | 달 (영원), 폐허 (덧없음) |
같은 슬픔, 다른 눈물
이렇게 보니 세 노래의 차이가 느껴지시나요?
- '황성옛터'와 '코조노 츠키'는 '폐허가 된 성'이라는 같은 소재를 다루지만, 하나는 나라 잃은 자의 뜨거운 눈물(통곡)을, 다른 하나는 역사를 관조하는 자의 차가운 눈물(무상함)을 담고 있습니다.
- '봉선화'와 '황성옛터'는 둘 다 일제강점기의 슬픔을 노래하지만, 하나는 가곡이라는 틀 안에서 상징으로 저항했고, 다른 하나는 대중가요의 애절한 가락으로 민중의 마음을 직접 위로했습니다.
결국 이 세 노래는 꽃과 달, 폐허라는 상징을 통해 각자의 자리에서 시대의 아픔과 인간의 슬픔을 노래했던 것이죠.
오늘 밤, 이 세 노래를 차례로 들어보며 그 안에 담긴 각기 다른 눈물의 의미를 느껴보는 건 어떨까요? 아마 멜로디 너머의 깊은 이야기가 여러분의 마음에 더 큰 울림을 줄 거예요.
🌺 가곡 이야기(1) 봉선화와 봉숭아 : 한 송이 꽃, 두 이름, 그리고 명곡의 이야기/한국인의 애창
여름의 시작을 알리고 손톱 끝을 아름답게 물들이던 추억의 꽃, 바로 봉선화와 봉숭아에 대한 흥미로운 이야기를 들려드리려 합니다. 혹시 이 두 이름이 같은 꽃을 가리킨다는 사실, 알고 계셨
haneulso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