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가곡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명곡 중 하나가 바로 '기다리는 마음'입니다. 이 곡은 김민부(1941~1972)가 작사하고 장일남(1932~2006)이 작곡한 예술가곡으로,우리나라 성악계에서 오랫동안 사랑받아온 레퍼토리입니다. 분단의 아픔에서 탄생한 명곡 이 곡의 탄생 배경을 들여다보면 한국 현대사의 아픔이 고스란히 담겨 있습니다. 작곡가 장일남은 6·25 전쟁 당시 월남하면서 황해도 연평도에서 고향 땅을 바라보며 이 곡을 작곡했다고 전해집니다. 1950년 초에 작곡된 이 곡은 단순한 기다림이 아닌, 분단의 현실 속에서 그리움과 애절함을 담아낸 시대적 산물이었습니다.흥미로운 점은 김민부의 가사가 한시(漢詩)를 번역한 것이라는 사실입니다. 이는 우리 전통 문학의 서정성과 서구 음악 형식이 만나 새로운 ..
우리가 지금 부르는 '그리운 금강산'이 사실 한번 가사가 바뀌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1972년 남북 이산가족 상봉이라는 역사적 사건은 이 노래의 운명을 완전히 바꿔놓았습니다. 작사가가 직접 눈물로 가사를 고쳐 써야만 했던 가슴 아픈 사연, 그리고 그 속에 담긴 통일을 향한 더 간절해진 염원을 따라가 봅니다. '통일의 노래'가 된 결정적 순간 1961년에 처음 발표된 '그리운 금강산'은 실향민들의 큰 사랑을 받았지만, 본격적으로 '분단과 통일의 상징곡'이 된 계기는 바로 1972년 7.4 남북 공동 성명 이후 시작된 '남북적십자회담'과 '이산가족 상봉'이었습니다. 수십 년 만에 혈육을 만나는 이산가족들의 오열과 통곡이 연일 TV와 라디오를 통해 전국에 생중계되었고, 이때 배경음악으로 가장 많이..
그리운 금강산의 작사자인 한상억 시인이 북이 고향인 화가 친구가 생각나 이 시를 썼다는 이야기는 곡의 탄생 배경에 담긴 '실향의 아픔'과 '그리움'이라는 핵심 정서를 더 쉽게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도록 돕는, 일종의 감동적인 서사 장치로 보입니다. 감동을 위한 서사? 실제로 한상억 시인이 특정 친구 한 명에게서만 영감을 얻었다기보다, 6.25 전쟁 이후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었던 수많은 실향민들의 보편적인 아픔과 슬픔을 '화가 친구'라는 하나의 상징적인 인물로 응축하여 표현했을 가능성이 큽니다. 이는 노래의 탄생에 극적인 감동과 휴머니즘을 더해주는 효과적인 문학적 구성입니다. 더 중요한 진실: 작사가의 '직접적인 체험' '화가 친구' 이야기보다 더 중요하고 확실한 창작의 근원은 바로 한상억 시인 자신..